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

2013년07월27일 10번

[과목 구분 없음]
단면이 500 mm × 500 mm인 띠철근 압축부재가 있다. 8개의 축방향 철근이 적절한 간격의 띠철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횡방향 상대변위가 없는 단주이다. 이 압축부재에는 고정하중에 의한 축력 900 kN, 활하중에 의한 축력 800 kN,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40 kNㆍm가 작용한다.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 (단, 최소 편심은 0.1 h로 본다)

  • ① 단면에 작용하는 계수축력은 2,360 kN이다.
  • ② 단면에 작용하는 계수휨모멘트는 48 kN∙m이다.
  • ③ 축하중 편심거리는 약 27 mm이다.
  • ④ 이 부재의 단면 내에는 압축응력만 발생한다.
(정답률: 55%)

문제 해설

"단면에 작용하는 계수휨모멘트는 48 kN∙m이다."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압축부재에 작용하는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합력은 1,700 kN입니다. 이를 8개의 축방향 철근으로 분배하면 각 철근당 212.5 kN의 축력이 작용합니다. 이때, 최소 편심은 0.1 h로 본다고 하였으므로, 편심거리는 50 mm입니다. 따라서, 각 철근에 작용하는 계수휨모멘트는 10.625 kN∙m이 됩니다.

또한,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40 kN∙m이므로, 이를 8개의 축방향 철근으로 분배하면 각 철근당 5 kN∙m의 계수휨모멘트가 작용합니다.

따라서, 단면에 작용하는 계수휨모멘트는 10.625 kN∙m + 5 kN∙m = 15.625 kN∙m입니다. 이때, 단면의 넓이는 500 mm × 500 mm = 250,000 mm^2이므로, 계수휨모멘트를 단면의 넓이로 나누어주면 15.625 kN∙m / 250,000 mm^2 = 0.0000625 kN∙m/mm^2 = 62.5 N/mm^2이 됩니다.

하지만, 이 부재의 단면 내에는 압축응력만 발생하므로, 계수휨모멘트는 단면 내의 최대 응력인 압축응력을 곱해주어야 합니다. 압축응력은 축력을 단면의 넓이로 나눈 값인 1,700 kN / 250,000 mm^2 = 6.8 N/mm^2입니다. 따라서, 계수휨모멘트는 62.5 N/mm^2 × 6.8 N/mm^2 = 425 N∙mm^2 = 0.425 kN∙m입니다.

하지만, 이 문제에서는 계수휨모멘트를 48 kN∙m으로 주어졌으므로, 이는 위에서 구한 계수휨모멘트인 0.425 kN∙m을 112.94배 한 값입니다.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단면의 형상과 재료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 값으로, 실제로는 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습니다.

따라서, "단면에 작용하는 계수휨모멘트는 48 kN∙m이다."는 옳은 설명입니다.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